경북 안동 임하동 십이지삼층석탑 (安東 臨下洞 十二支三層石塔)

    문화재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6호(1979.1.25 지정)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동 임하리 794

    이 탑은 신라말에서 고려초 사이에 만들어 진 것으로 안동에서는 가장 오래된 석탑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2.74m 이다. (신용철 : 통도사 성보박물관 학예실장, 탑 학위 소유) 임하동에 있는 4기의 탑중 서쪽에 위치한 작은 탑으로 2층 지붕돌(옥개석)까지만 남아 있고 나머지는 없어졌다

    기단석(基壇石) 각면에는 12지상(十二支像)을 부각(浮刻)하였고, 상층기단 면석(面石)에는 2구(二軀)씩의 8부신상(八部神像)을 조각하였다. 특히 기단석에 12지상과 8부신상을 동시에 장식한것은 석탑 양식에서는 보기더문 특이한 예의 하나이다.

    탑이 논 가운데 있어서 하층기단을 볼수 없었다. 저 멀리 보이는 탑이 임하동 중앙삼층석탑이다. 가을추수가 끝날무렵에 다시 와 보아야 겠다

    안동 임하동 십이지삼층석탑(A지점) 항공사진

    작은탑이지만 조각이 아릅답고 각부의 비례가 정제된 예쁜 탑이다. 면석에 팔부신상을 새긴 탑으로는 인근에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이 있으며 인왕상을 조각한 탑으로는 조탑동 오층전탑이 있으나 십이지상을 새긴 예는 없다. 1965년 해체 복원 당시 사리장치가 발견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같은해에 주변 민가에서 동제여래입상 1구가 발견 되기도 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