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조탑동 오층전탑(五層塼塔)
보물 제 57호 경북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
![]()
통일신라시대의 5층 전탑으로 높이 8.65m, 상륜부는 없어졌다.
![]()
남면에 불상을 모시는 감실을 내고 좌우에 인왕상을 조각 하였다.
감실 내부
감실내부의 목심주
- 누가 썼는지는 알 수 없으나 목심주에 축원문이 쓰여 있다.
-
흙으로 쌓은 기단위에 화강암으로 몸돌을 만들었고
기단의 너비는 7m 이다.
조탑동 전탑에 걸린 낮에 나온 반달
- 1층 지붕돌부터 한변이 27cm 이고
두께가 5.5cm 되는 벽돌을 어긋나게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
조선시대에 수리 된 바 있으며
1917년 이후 여러차례 보수되어
원형을 많이 상실하였다
조탑리 벽화의 거리
-
탑돌이
인도의 대표적 예법에는 접족예법(接足禮法)과 우요삼잡의 2가지가 있는데
탑돌이는 이 가운데 우요삼잡의 예법이 전해져 내려온 것입니다.
우요삼잡은 부처님을 중심으로 두고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도는 예법으로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탑돌이에 그 형태가 전이된 것입니다.
- 탑돌이 예법
먼저 탑을 향해 합장 반배
끝나고 합장 반배
- 탑돌이 방향 : 시계방향
우측어께를 탑에 가까이 하고 도는것은
우측이 신성하고 공경하다는 인도의 풍속때문.
- 탑돌이 회수 : 최소3회 -> 9회 ->99회
- 탑돌이 의미
삼보(불보, 법보, 승보)귀의
삼존(본존과 그의 좌우에 모시는 두 보살)공경
삼독(탐,진,치 - 사람의 착한 마음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에서 벗어남.
- 탑돌이 하는 방법
1. 머리를 숙이고 땅을 봐야한다.
2. 벌레를 밟으면 안 된다.
3. 좌우를 두리번거리면 안 된다.
4. 탑 앞에 침을 뱉으면 안 된다.
5. 중간에 서서 사람들과 이야기하면 안 된다.』는 등
'탑에게 길을 묻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주 동방사지칠층석탑 (0) | 2012.09.13 |
---|---|
안동 이천동 삼층석탑과 마애여래입상 (0) | 2012.09.03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0) | 2012.08.13 |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安東 臨河洞東 三層石塔) (0) | 2012.07.27 |
안동 임하동 오층석탑 (0) | 201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