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덕왕후와 관우물[棺井] 이야기


현릉(좌측 멀리 문종왕릉과 현덕왕후릉)
현덕왕후(1418(태종 18)~1441(세종 23))는
조선 제5대왕 문종의 비(妃)로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문종의 세자 시절 휘빈 김씨와 순빈 봉씨가 폐출되고 
1437년 세 번째로 세자빈이 되었고, 세자빈이 되기전에 경혜공주를 낳았다 
1441년 단종을 낳고 3일뒤에 24세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그후 문종이 즉위한 후에 현덕왕후(顯德王后)로 추봉되고 
능을 소릉(昭陵)이라 하였다. 
안산시 목내동 능안리란 곳에 가면 소릉(昭陵)이 있는데 
이 능은 단종의 어머니이자 문종의 비인 현덕왕후 권씨를 모셨던 능이다. 
세조가 계유정란을 일으켜 왕위를 찬탈하고 
어린조카 단종을 청렴포로 유배 보낸뒤 죽이려 했을 때의 일인데....., 
하루는 세조의 꿈에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세조의 형수)가 나타나서 
얼굴 가득히 분노의 빛을 띠고 꾸짖었다. 
“너는 참으로 악독하고 표독하구나. 
  내 아들 단종의 왕위를 빼앗고도 그래도 부족하여 
  영월 청렴포로 내 쫓더니, 이제는 목숨까지 끊으려 하는구나. 
  네가 나와 무슨 원한이 그리 심하기에 이처럼 악착스러우냐. 
  이제 내가 네 자식을 살려두지 않겠다.” 
그리고는 세조의 얼굴에 침을 뱉고는 사라져 버렸다.
(꿈속에서 현덕왕후가 뱉은 침을 맞은 곳에서 피부병이 생기기 시작하더니 
 차츰 온몸으로 퍼져 피고름이 나는 악성피부병이 되었다.  세조는
 전국 방방곡곡의 명의를 불러모아 치료를 받아보았으나 신통치 않았고, 
 명산대찰을 찾아다니며 불공을 드려보기도 하지만 효험이 없었다 한다)
세조는 계유정란 이후 밤마다 꿈자리가 좋지 않아 걱정하던 차에 
이런 꿈을 꾸고 나니 마음이 섬뜩해서 어찌할 바를 몰랐다. 
이때 동궁의 내시가 급히 들어와 말했다. 
“의경세자께서 주무시다가 가위눌림이 되어 매우 위중하옵니다.” 
세조는 이 말을 듣고는 
꿈속의 현덕왕후 말이 생각나 급히 동궁의 처소로 달려갔다. 
그러나 이미 의경세자는 숨이 끊어진 뒤였다. 
(세조의 둘째아들 예종(해양대군)도 즉위 14개월만에 요절한다) 
세조는 이것이 필시 현덕왕후의 보복이라 단정하고, 
크게 노하여 소릉에 사람을 보내어 능을 파 보라고 명을 내렸다. 
왕의 명을 받은 관리들이 
소릉에 도착하였을 때 근처의 백성들이 몰려와 말했다. 
“어제 밤에 능에서 여자의 곡성 소리가 났습니다.” 
이 말을 들은 관리들은 꺼림직하게 여겼으나 임금의 엄명이라 할 수 없이 
능을 파기 시작했다. 드디어 삽과 괭이가 관에 닿았다. 
그런데 고약한 냄새만 날 뿐 단단하고 육중한 관은 아무리 애를 써도 
철판같이 움직이지 않는 터라. 어찌하지 못하고 임금인 세조에게 보고를 했다. 
그러자 세조는 화가 치밀어 도끼로 관을 쪼개 버리라고 엄명을 내렸다. 
명령대로 관을 쪼개려고 도끼를 들어올리자 
관이 저절로 벌떡 일어나 걸어 나왔다. 
너무 놀라 이 사실을 왕에게 보고하자, 왕은 관을 불살라 버리라고 명하였다. 
그래서 그대로 하려 하자 이번에는 난데없이 천둥번개가 치고 
비가 쏟아져 불을 지필 수가 없었다. 
화가 머리 끝까지 치민 세조는 관을 바다에 던져 버리라고 명했다. 
그리하여 관리들은 관을 바다 멀리 던져 버렸다. 
그런데 왕후의 관은 그곳을 떠나기가 싫었던지 소릉 옆에 있던 
바닷가까지 떠밀려 와 닿았다. 지금은 그곳이 육지가 되었지만, 
그 당시에는 바닷물이 마을 남쪽 어귀로부터 우물터까지 들어왔다고 한다. 
현덕왕후의 관이 바닷가에 떠밀려와 있었지만 세조가 왕으로 있던 때라 
감히 누구도 건져내 묻어 주는 사람이 없었다. 
그런데도 관은 썰물에 밀려가지도 가라앉지도 않고 
빈 배처럼 둥실둥실 떠돌다가, 
며칠 후에야 약간 떠내려가 양화나루에 닿았다고 한다. 
양화나루에 관이 닿자 마침 그곳에 사는 순박한 농부가 이를 보고, 
왕후의 관을 방치한 무지한 행위를 개탄하면서 
밤중에 몰래 관을 옮겨 강기슭 양지바른 언덕 위에 묻어 주었다. 
그러자 농부의 꿈속에 현덕왕후가 나타나 잘 묻어 주어 고맙다고 하면서 
농부의 길흉을 알려 주었다고 한다. 
그 후 농부는 가세가 번창하여 잘살게 되었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중종조에 이르러 정암 조광조가 소릉의 복위를 건의하였다. 
(중종실록에 의하면 여러 신하들이 
 현덕왕후의 유골이 바닷가에 천장되어 있음을 안타까이 여겨 
 삼사(三司)가 주축이 되어 거의 매일 4개월에 걸쳐 
 소릉을 추복(追復)하자는 상소를 올렸으나 
 중종이 망설이는 가운데 중종 8년 2월에 태조능(太祖陵)의 
소나무 두 그루에  벼락이 떨어진 것이 계기가 되어 윤허 하였다 한다.) 
그러나 정작 현덕왕후의 관 종적을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이 일과 관계된 관원의 꿈에 
현덕왕후가 현몽해 “너희들 수고가 많구나. 그렇게 애쓰지 않아도 
내일은 나의 관이 있는 곳을 알게 되리라.” 하는 거였다. 
왕후의 말을 듣고 황공해 하는데 깨어 보니 꿈이었다. 
한편 관을 묻어 준 농부의 후손은 
관원들이 현덕왕후의 관을 찾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혹시 후환이 있을까 두려워 주저하고 나서지 못하고 있는데 
현덕왕후가 꿈에 나타나 
“관원에게 관이 묻힌 곳을 알려 주라.”고 현몽하였다. 
그래서 농부의 후손은 이 사실을 관아에 알렸고 후한 상금을 받았다고 한다. 
현덕왕후의 관을 파내어 보니 
관의 칠 냄새가 향기로웠고 조금도 부패하지 않았다고 한다. 
왕후의 관은 궁중의식에 따라 문종의 능이 있는 
동구릉으로 성대하게 이장을 했다. 
그런데 왕의 능과 왕후의 능 사이에는 큰 수풀이 가로막혀 있었는데 
왕후의 능을 모신 뒤부터 나무의 숲이 말라죽어 
서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현덕왕후의 관이 바다에 버려진 후에 처음 닿은 바닷가는 
뒤에 육지가 되어 우물이 생겼는데, 
사람들은 관이 닿았던 자리라 해서 그곳을 ‘관우물’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한 백여년 전 어떤 사람이 향나무를 심어 
반월공단 조성당시 까지 고목이 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관우물도 고목도 모두 사라지고 말았다 
- 1989년 5월 27일 당시 68세이던 김정애씨의 구술 - 

[ 관우물지는 향나무가 말라죽어 베어버린 뒤  원형이 모두 파괴된 채 
  주식회사 일진의 공장안에 남아 있다가 1997년 일진에서 매입하여 
  공장부지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때 안산문화원의 요청에 따라 일진에서 표석을 세워주었다.] 
참고문헌 : 세종실록, 단종실록, 중종실록, 한민족대백과사전. 
           내고장 안산, 안산시사, 현덕왕후 폐릉지 발굴조사보고서 
<출처 : 인터넷에서 발췌>
[참고] 야사(野史)와 정사(正史)는 다를수 있습니다.

김수철, 허튼소리(영화 "서편제" 중) / 아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