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청도군 풍각면 봉기리719-5
탑이 있어 이 일대를 탑동이라고 불렸다 한다
이중기단에 삼층 탑신을 올린 높이는 5.47m의 신라 탑이다 기단부의 부재 구성이 정연하다, 기단의 안 기둥(탱주)수가 상하 모두 각 면에 2개씩이고, 지붕돌 밑면받침은 5단이고, 윗면에는 각형 2단의 옥신받침이 각 층에 표현되었다 초기석탑의 형식을 따른 통일신라시대 8세기 중엽의 작품으로 추정한다.(문화재청)
탑이 있는 이 지역은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천정사(天井寺)라는 사찰이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천정사는 쌍탑 가람이었는데 동탑은 1930년경에 없어지고 지금은 서탑만 남아 있다.
이 일대에 풍각초등학교가 자리 잡았는데 2007년 10월 30일 풍각초등학교 세종대왕 동상 뒤편에 있던 탑을 현재의 위치(도로변)로 옮겼고 탑 앞에 보이는 석등연화대좌는 석탑과 함께 천정사지의 유일한 유물로 추정되며 1970년경부터 풍각초등학교 교문 좌측 세종대왕 동상 뒤편에 있던 것을 탑과 함께 옮겼다 (출터:인터넷)
'탑에게 길을 묻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주사의 석탑 (0) | 2016.09.11 |
---|---|
제일 높은 탑의노래 (0) | 2016.08.04 |
안동의 오층석탑 (0) | 2016.04.20 |
안동 막곡동 삼층석탑 (0) | 2016.03.18 |
임하오층석탑 맹수도 (0) | 2016.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