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절집 부석사 1


소백산맥 봉황산/부석사 무량수전에서 바라본 경관
    ■ 봉황산 부석사

    그 건축의 아름다움보다도 무량수전이 내려다보고 있는 경관이 장관이다.
    바로 이 장쾌한 경관이 한눈에 들어오기에 무량수전을 여기에 건립한 것이며
    앞마당 끝에 안양루를 세운 것도 이 경관을 바라보기 위함이다.
    안양루에 오르면 발 아래로는 부석사 당우들이 낮게 내려앉아
    마치도 저마다 독경을 하고 있는 듯한 자세인데,
    저 멀리 산은 멀어지면서 태백산맥 연봉들이 남쪽으로 치달리는 산세가
    일망무제로 펼쳐진다.


안양루와 일망무제로 펼쳐진 태백산맥의 연봉
    이 웅대한 스케일,
    태백산맥 전체가 무량수전의 앞마당인 것처럼 끌어안은 것이다.
    이것은 현세에서 감지할 수 있는 극락의 장엄인지도 모른다. . .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2>(창작과 비평사)


부석사 삼층석탑에서 바라본 경관



범종각 밑에서 바라본 안양루와 무량수전과 석탑



안양루(安養樓)...
    ■ 부석사 안양루

    안양루는 무량수전 앞마당 끝에 놓인 누각이다.
    이 건물에는 위쪽과 아래쪽에 달린 편액이 서로 다르다.
    난간 아랫부분에 걸린 편액은 '안양문'이라 되어 있고
    위층 마당 쪽에는 '안양루'라고 씌어 있다.
    하나의 건물에 누각과 문이라는 2중의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안양(安養)'은 극락이므로 안양문은 극락 세계에 이르는 입구를 상징한다.


무량수전 편액
    ■ 무량수전

    부석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생명을 지녔으므로 무량수불로도 불리는데
    '무량수'라는 말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정면 중앙칸에 걸린 무량수전 편액은 고려 공민왕의 글씨이다.


부석사의 당우와 태백산맥



부석사 일몰
    ■ 부석사의 일몰

    우리나라 사찰중 일몰이 가장 아름다운곳
    일몰각이 가장 좋은 시기는 11월 ~ 2월
    요기가 일몰 포인트라는데....
    이때(2015.07.11)는 석양을 볼 수 없었으나 그래도 넘...좋았다!!!


부석사 무량수전 동쪽에 세워져 있는 석탑
    ■ 부석사 삼층석탑(보물 제249호)

    문무왕 16년(676) 부석사를 창건할 당시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탑으로
    높이는 약5,66m이다.
    아래층 기단의 너비가 매우 넓고,
    1층 몸돌 또한 높이에 비해 너비가 넓어서 장중해 보인다.
    1960년 해체하여 복원할 때 철제탑, 불상의 파편, 구슬 등이 발견되었고
    이 때 일부 파손된 부분은 새로운 부재로 보충하였다.
    탑은 원래 법당 앞에 건립되는 것이 통례이나
    이 석탑은 법당의 동쪽에 세워져 있어 눈길을 끈다.
    (문화재청 자료)


    노래 : 부석사의 밤-홍인숙
    (홍인숙 : 봉화 논공단지 삼거리에서 풍경소리 해장국집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예토로 가다보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천 회룡포  (0) 2016.01.04
주왕산 제1폭포  (0) 2015.11.18
청송 송소고택  (0) 2015.07.06
제비원 미륵불 눈뜨다  (0) 2015.01.11
칼선대 -단천리 물도리동  (0) 2014.12.03

+ Recent posts